[SP데일리=신민규 기자] 5일 대구에서 60대 근로자가 작업 중 끼임사고로 숨져 노동 당국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에 나섰다. 지난 7월6일 경기 김포시에 있는 한 공장 공사장에서는 50대 근로자가 추락사고로 숨져 노동 당국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에 나섰다. 지난 5월12일 전라남도 광주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건설용 리프트에 깔려 사망한 사고가 발생해 경찰이 안전관리 책임자 2명을 입건했다. 이에 각지역 노동청들은 사고 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 등을 조사중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구멍'이 많고 직접 노동자 보호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쓴소리다. ◆'리프트 깔림 사망 사고' 안전관리 책임자 2명 입건 전라남도 광주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건설용 리프트에 깔려 사망한 사고와 관련해 경찰이 안전관리 책임자 2명을 입건했다. 광주 남부경찰서는 6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현장소장 A씨 등 안전관리 책임자 2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A씨 등은 지난달 11일 오후 1시 40분께 광주 남구
[SP데일리=임수진 기자] 대구 서부경찰서는 오락실에서 흉기를 휘둘러 손님을 다치게 한 혐의(특수상해)로 50대 A씨를 붙잡아 조사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경찰 등에 따르면 A씨는 전날 오후 5시 40분께 대구 서구 비산동 한 오락실에서 종업원과 다투던 중 이를 말리던 손님에게 흉기를 휘둘러 다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범행 직후 도주했으나 5시간여 만에 경북 경산에서 경찰에 붙잡혔다. 피해 손님은 뺨과 목을 다쳐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경찰은 정확한 사건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SP데일리=신민규 기자] 민주노총이 윤석열 정권 퇴진을 주장하며 다음 달 3일부터 15일까지 총파업 투쟁을 예고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민주노총은 ▲ 윤석열 정권 퇴진의 대중적 분위기 확산 ▲ 최저임금 인상, 노조법 2·3조 개정(노란봉투법 입법) ▲ 노조 탄압·노동 개악 저지 등을 총파업 기조·목표로 내걸었다. 양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 들어 노동 탄압·개악, 민생 파탄, 민주주의 실종, 사대 굴종 외교 등으로 사회 전 분야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며 "윤석열 정권 퇴진을 위해 민중 총궐기 투쟁을 결의했다"고 말했다.
[SP데일리=신민규 기자] "폭우 피해 막으려다 오히려..." 60대 수리시설 관리원이 폭우가 쏟아지자 피해를 막으려고 외출했다가 실종됐다. 28일 전남도와 함평군 등에 따르면, 함평군 엄다면에 거주하는 오 모(68)씨는 27일 오후 10시 경 엄다면 엄다천 인근에서 실종됐다. 오씨는 농어촌공사가 위촉한 수리시설 관리원으로 활동해 왔으며, 폭우가 쏟아지자 엄다천과 함평천을 연결하는 수문을 열기 위해 외출했다가 실종된 것으로 됐다. 함평군측은 "수문을 열지 않으면 하천물이 범람해 인근 농경지 침수 등이 우려됐다"며 "오씨가 '공무'를 수행하다 실종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소방 당국이 실종된 오씨를 찾기 위해 광범위하게 수색중이다"며 "오씨가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밤에 외출했다가 실종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SP데일리=임수진 기자] 서울 강북구(구청장 이순희)는 집중호우로 인한 재산피해, 인명사고 등 저지대에서 발생하기 쉬운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반지하주택 위험 가구를 대상으로 '개폐식 방범창'을 설치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발생했던 수해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조처다. 구는 올여름 엘니뇨 발달로 많은 비가 쏟아질 것이 예상됨에 따라 우기 전 반지하주택 총 1만5549가구를 대상으로 실측조사를 실시했다. 현재 강북구 반지하주택은 서울시 전체 212,962호 대비 7.3%로 서울시 자치구 중 관악구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다. 조사는 위험도에 따라 4단계로 나눠 진행됐다. 구는 지난해 중증장애인 거주 가구 29호(1단계), 노인 및 아동 거주가구 30호(2단계)를 조사했으며 올해는 과거 침수이력이 있는 반지하 주택 가구 448호(3단계)와 1·2·3단계를 제외한 나머지 반지하주택 가구 15,042호(4단계)를 점검했다. 구는 재해 이력, 지형 등을 분석해 침수 가능성이 높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육안조사를 실시했다. 이후 '매우', '보통', '약간', '불필요' 4단계로 침수위험도를 분류하고, 이 중 침수위험도가 높은 '매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