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데일리 김지훈 기자 ]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위원장 김진애)와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10월 31일 10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서귀포)에서 2025년 전국 지자체 총괄ㆍ공공건축가콜로키엄(Colloquium)을 개최한다.
공공건축가는 지역의 건축공간정책과 공공건축의 디자인‧기능 등 품질 개선을 위해 기획‧설계부터 운영‧관리까지 자문. 지자체장이 위촉하며, 일관성 있는 통합 관리로 지역의 매력을 제고하고 있다.
전국의 총괄ㆍ공공건축가 110명과 함께 건축․도시 분야 산업계ㆍ학계 전문가와 국토부 및 지자체 공무원 등 170명이 모일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좋은 공공건축 추진 방향과 공간 민주주의 실현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주제 발표는 ‘지역발전과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국가건축정책 추진 방향(김준영 전북 총괄건축가)’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26~’30) 수립 현황’과 총괄ㆍ공공건축가 제도 활성화 방안, 경북 영주와 제주의 우수사례를 공유한다.
아울러 ‘총괄ㆍ공공건축가 연석회의(라운드테이블)’에서 국토균형성장을 위한 도시건축 품질 향상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총괄ㆍ공공건축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이와 함께 제주 지역 특색을 살린 청수 목월재(한옥을 재해석해 숲과 과수원 등 풍경을 살린 나무집, 2023 목조건축대전 최우수상), 검은집 미술관(바람, 빛, 돌과 사람 사이 제주의 자연을 담은 공간, 2025 제주건축문화대상 대상) 등 우수건축물을 답사하며 지역 건축문화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갖는다.
김진애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건축산업과 시대가 마주한 문제 해결을 위해 “‘명품 랜드마크’ 대신, ‘우리 땅의 이야기, 우리 삶의 이야기, 우리 시대의 이야기, 우리 풍경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라면서,
“오랜 시간 지속되어 온 총괄‧공공건축가 제도가 이제는 혁신과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국가건축정책위원회가 건축인들과 소통하며 함께하겠다”라고 밝힐 예정이다.
김윤덕 장관은 환영사에서 “총괄건축가와 공공건축가의 손끝에서 공공건축물 하나가 태어나면 동네의 표정이 달라지고, 도시의 품격이 세워진다.”라면서,
“총괄건축가가 현장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정한 설계공모와 창의적인 도시건축 문화를 만드는 데에 더 노력하겠다”라고 전할 예정이다.

